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적장애

by 윤유월문 2025. 6. 5.
반응형

지적장애란?

  • 지적 기능: 학습, 문제 해결, 판단, 계획 세우기 등 인지 능력 전반을 말합니다.
  • 적응 행동: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의사소통, 사회적 기술, 자기관리 능력 등을 의미합니다.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이 두 영역에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며, 일상생활에서 도움과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원인

  • 유전적 요인 (예: 다운증후군, 프래더-윌리 증후군 등)
  • 출산 전·중·후 환경적 요인 (예: 태아기 감염, 산모의 약물복용, 출산 중 뇌손상 등)
  • 미확인 원인도 많음

특징

  • 학습 능력 저하
  •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 어려움
  • 문제 해결 및 추상적 사고 제한
  • 일상생활에서의 독립성 제한 (중증도에 따라 다름)

지원과 교육

  • 개별화된 교육 프로그램(IEP: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 행동 치료 및 사회 기술 훈련
  • 가족 및 사회적 지원 체계 구축
  • 직업훈련 및 사회 적응 지원

학교폭력과 지적장애

지적장애 학생들은 의사소통 능력이나 사회적 이해가 부족해 학교폭력의 피해자가 되기 쉽고, 가해자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들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보호가 중요합니다.


 

지적장애와 학교폭력을 나타낸 그림

1. 지적장애 아동의 교육 방법

개별화 교육 (IEP: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 아동 개개인의 발달 수준, 필요에 맞춰 맞춤형 교육 계획 수립
  • 학업, 사회성, 생활기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목표 설정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교수법

  • 시각적 자료, 그림, 사진, 동작 등 구체적인 학습 자료 활용
  • 한 번에 너무 많은 정보 제공을 피하고, 단계적으로 지도

반복 학습과 실습 중심

  • 여러 번 반복해서 익히기
  • 실제 생활과 연계한 실습 활동 강조 (예: 돈 계산, 대중교통 이용법 등)

긍정적 강화

  • 작은 성취도 칭찬하고 보상해 동기 부여
  • 실패 경험을 줄이고 성공 경험 축적에 초점

사회성 및 생활기술 교육

  • 또래 관계 맺기, 의사소통, 감정 조절 훈련
  • 자기관리, 위생, 안전 교육 포함

2. 지적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 지원

정서 안정과 자기 존중감 향상

  • 안정된 환경 제공
  • 성취 경험을 통한 자신감 강화

문제 행동 관리

  • 문제 행동의 원인을 이해하고, 대체 행동 가르치기
  • 긍정적 행동 지원(PBS: Positive Behavior Support) 활용

가족 상담 및 지원

  • 부모 교육과 상담 제공
  • 가족이 아동 발달에 적극 참여하도록 도움

사회적 기술 훈련

  • 또래 관계, 갈등 해결법, 의사소통 능력 강화
  • 그룹 활동이나 놀이 치료 활용 가능

3. 지적장애 관련 법률 및 제도

장애인복지법

  • 장애인의 권리 보호 및 복지 증진
  • 교육, 고용, 의료, 생활 지원에 관한 기본 법률

특수교육 진흥법

  • 장애 학생의 특수교육 지원 및 환경 조성
  • 특수학교, 통합교육, 전문 인력 배치 근거

장애인차별금지법

  • 장애인에 대한 차별 금지 및 평등권 보장
  • 교육, 고용, 서비스 이용 시 차별 예방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 장애인 고용 촉진과 직업재활 지원
  • 직업 교육, 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