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학습심리란?
**학습심리(Learning Psychology)**는 사람이나 동물이 경험을 통해 행동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즉, 학습이란 경험의 결과로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주요 이론과 학자들
1.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 대표 학자: 이반 파블로프 (Ivan Pavlov)
- 핵심 내용:
- **무조건 자극(UCS)**과 **조건 자극(CS)**의 반복된 결합을 통해, 조건 자극만으로도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 것.
- 예시: 개에게 벨소리(조건 자극)와 고기(무조건 자극)를 반복적으로 주면, 나중에는 벨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림.
2.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
- 대표 학자: B.F. 스키너 (B.F. Skinner)
- 핵심 내용:
- **행동에 대한 결과(강화나 처벌)**가 그 행동의 발생 빈도를 변화시킴.
- 강화(보상) → 행동 증가, 처벌 → 행동 감소
- 예시: 학생이 숙제를 잘 하면 칭찬을 듣고, 더 자주 숙제를 하게 됨.
3. 관찰학습(Social Learning / Observational Learning)
- 대표 학자: 알버트 반두라 (Albert Bandura)
- 핵심 내용:
- 사람은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학습할 수 있다.
- 보보인형 실험: 아이들이 공격적인 성인의 행동을 보고 따라함.
- 핵심 개념: 모델링, 모방, 대리강화
4. 인지학습이론(Cognitive Learning Theories)
- 대표 학자: 장 피아제(Jean Piaget), 에드워드 톨만(Edward Tolman) 등
- 핵심 내용:
- 학습은 단순한 자극-반응의 연결이 아니라 인지적 처리과정을 수반함.
- 톨만의 잠재학습(latent learning): 보상이 없어도 학습이 일어날 수 있음.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인간은 발달단계에 따라 학습 능력이 달라짐.
🧩 학습심리의 실제 적용 예시
- 교육현장: 학습자의 동기 유발, 보상 체계 설계, 피드백 방식 개선
- 상담/치료: 행동수정, 노출치료, 인지행동치료 등
- 직장 및 조직: 직원 훈련, 습관 형성, 강화 전략 등
- AI 개발: 기계학습의 기초 개념은 행동주의 이론에서 착안됨
📌 요약 정리
구분핵심 이론주요 개념대표 학자
고전적 조건형성 | 자극과 반응의 연합 | 조건 자극, 무조건 자극 | 파블로프 |
조작적 조건형성 | 결과에 따른 행동 변화 | 강화, 처벌 | 스키너 |
관찰학습 | 타인의 행동 관찰로 학습 | 모델링, 대리강화 | 반두라 |
인지학습 | 인지 과정의 중요성 | 인지지도, 도식 | 톨만, 피아제 |
728x90
반응형
'심리, 장애,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 피아제에 대하여 (2) | 2025.07.11 |
---|---|
알버트 반두라에 대하여 (0) | 2025.07.10 |
자폐와 함께 나타날 수도 있는 증후군에 대하여 (2) | 2025.07.08 |
뇌병변으로 인한 장애에 대하여 (2) | 2025.07.07 |
B.F. 스키너 (B.F. Skinner)에 대해 (3)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