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장애, 정신건강

뇌병변으로 인한 장애에 대하여

by 윤유월문 2025. 7. 7.
728x90
반응형

 

뇌이미지

 

뇌병변(腦病變)”은 뇌에 손상이 발생하여 운동, 감각, 인지, 언어, 행동 등 다양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통틀어 말합니다. 주로 **중추신경계(뇌, 척수)**의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며, 선천적 또는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뇌병변의 정의 (의학적 의미)

“뇌의 기질적 손상으로 인해 영구적 또는 진행성 기능장애가 발생한 상태.”

✅ 뇌병변장애는 한국의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장애 유형 중 하나이며,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후유증 등을 포함합니다.


🔹 대표적인 뇌병변 유형

구분                                                                  설명
뇌성마비(Cerebral Palsy) 출생 전후 또는 영유아기에 발생한 비진행성 뇌 손상으로 인한 운동 장애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교통사고, 추락 등으로 인한 물리적 손상
뇌졸중(Stroke)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생기는 출혈성 혹은 허혈성 손상
저산소성 뇌손상 산소 부족으로 인한 신경 세포의 괴사
감염성 뇌손상 뇌염, 수막염 등에 의한 후유증
퇴행성 뇌질환 파킨슨병, 헌팅턴병 등 진행성 질환도 포함될 수 있음
 

🔹 주요 증상

기능                                   영역증상 예시
운동 마비(편마비, 사지마비), 경직, 강직, 보행 장애
언어 발화 장애, 언어 이해력 저하
인지/지각 기억력 저하, 주의력 결함, 판단력 저하
감각 통증, 감각저하, 시각·청각 이상
행동/정서 충동성, 감정 조절 어려움, 무기력감
기타 연하곤란(삼킴 어려움), 경련, 실금 등



🔹 원인

구분                      원인
선천성 조산, 저산소증, 선천성 기형, 임신 중 감염
후천성 사고(교통사고, 낙상), 뇌졸중, 뇌종양, 뇌염, 심정지 등
 

🔹 진단 방법

  • 뇌 MRI/CT, 신경학적 검사
  • 발달 평가 (특히 소아)
  • 언어/인지 검사, 심리 검사 등

🔹 재활 및 치료

치료 분야                                  주요 내용
물리치료(PT) 자세 교정, 보행 훈련, 근력·운동 조절 향상
작업치료(OT) 일상생활 훈련(식사, 옷 입기 등), 소근육 기능 향상
언어치료(SLP) 말하기, 듣기, 이해, 삼킴 기능 개선
인지재활 기억력, 주의력, 문제해결력 향상
심리치료/상담 정서적 지지, 행동 조절 훈련 등
의료적 치료 약물(경련 조절, 근육 이완 등), 보톡스, 수술 등



🔹 뇌병변장애 아동의 특성과 교육적 접근

  • 인지, 운동, 언어 영역이 복합적으로 어려울 수 있음
  • 보조기기 사용, 개별화 교육계획(IEP) 이 필수
  • 접근성 높은 환경(예: 휠체어 동선), 통합교육특수교육지원

🔹 복지/지원 제도 (대한민국 기준)

  • 장애인 등록 및 등급제도 → 뇌병변장애로 등록 가능
  • 발달재활서비스(심리·언어·인지·감각운동 등 치료비 지원)
  • 보장구 지원제도 (휠체어, 이동 보조기기 등)
  • 교육지원 (특수학급, 특수교사 배치 등)
  • 활동지원서비스, 장애인연금 등 추가 지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