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장애, 정신건강

장 피아제에 대하여

by 윤유월문 2025. 7. 11.
728x90
반응형

👶🏻👴🏻 장 피아제(Jean Piaget)의 생애

  • 출생: 1896년 8월 9일, 스위스 뇌샤텔(Neuchâtel)
  • 사망: 1980년 9월 16일 (향년 84세)
  • 국적: 스위스
  • 전공: 생물학 → 심리학, 인지이론
  • 주요 경력:
    • 스위스 제네바 대학 교수
    • 국제아동발달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Genetic Epistemology) 창립
    • 유네스코(UNESCO) 교육 연구 자문

🧠 특이한 점:

  • 피아제는 어린 시절부터 생물학과 철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11세에 과학 논문을 발표할 정도로 천재성을 보였습니다.
  • 원래 동물학을 전공했지만, 아동들의 사고방식에 관심을 갖게 되며 인지발달 이론을 정립하게 되었어요.

📚 피아제의 주요 이론: 인지발달이론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피아제는 아이들이 단순히 "지식이 적은 어른"이 아니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존재라고 봤습니다.

그는 인간의 인지 발달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며 이루어진다고 주장했어요.


🧩 인지발달의 4단계 이론

단계                                                              나이             특징
감각운동기 (Sensorimotor Stage) 0~2세 감각과 운동을 통해 세상을 탐색함. 대상 영속성(object permanence)을 획득함
전조작기 (Preoperational Stage) 2~7세 언어 발달, 자기중심적 사고(egocentrism), 물체의 상태를 직관적으로만 이해함
구체적 조작기 (Concrete Operational Stage) 7~11세 보존 개념 획득, 논리적 사고 가능, 그러나 구체적 사물에 한정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al Stage) 11세~성인 추상적 사고, 가설 설정 및 논리적 추론 가능
 

🔄 핵심 개념

1. 도식(Schema)

  • 사고와 행동의 기본 단위,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
  • 예: “물건은 입에 넣어야 한다”는 유아기의 도식

2. 동화(Assimilation)

  • 새로운 정보를 기존 도식에 끼워 맞추는 것
  • 예: 사과와 공을 둘 다 “던질 수 있는 둥근 것”으로 이해함

3. 조절(Accommodation)

  • 기존 도식을 바꾸어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는 것
  • 예: 공은 튀지만 사과는 깨진다는 것을 이해함 → 도식을 수정

4. 평형화(Equilibration)

  • 동화와 조절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과정
  • 인간은 인지적 균형 상태를 유지하고자 함

🧠 피아제 이론의 의의

  • 아이의 사고 수준을 ‘지식이 부족한 어른’으로 보는 시각을 바꿈
  • 아동 중심 교육, 탐색학습, 발견학습의 이론적 기초 제공
  • 아동은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한다”는 구성주의 교육철학의 기반이 됨

📌 실제 적용 예

분야적용 내용
교육 아동의 인지 수준에 맞는 교육 단계 설정 (예: 유아는 보존개념이 없으므로 실물 중심 학습)
심리검사 발달 수준 평가 도구로 사용 (예: 보존 개념 검사)
교육과정 활동 중심, 놀이 기반 학습 강조
 

✏️ 피아제 vs. 반두라 차이점

항목                                            피아제                                                                     반두라
이론명 인지발달이론 사회학습이론
관점 아이는 능동적 지식 구성자 행동은 사회적 관찰을 통해 형성
강조점 발달 단계, 인지 구조 모델링, 자기효능감
방법 자기 탐색, 실험 활동 관찰, 모방, 피드백
 

✅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이름 장 피아제 (Jean Piaget)
국적 스위스
직업 발달심리학자, 철학자
주요이론 인지발달이론 (4단계 이론)
핵심개념 도식, 동화, 조절, 평형화
교육 기여 아동 중심 교육, 구성주의의 기초 제공

 


 

아래는 장 피아제(Jean Piaget)의 인지발달 4단계에 따라, 아동들이 보이는 대표적인 행동 예시를 정리한 것입니다. 실제 교실, 가정, 놀이 상황에서 관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포함했습니다.


🍼 1. 감각운동기 (Sensorimotor Stage) | 0~2세

세계를 감각과 운동을 통해 이해하는 시기

🧒 아동 행동 예시:

  • 입에 넣기, 만져보기
    → 새로운 물체를 보면 무조건 입에 넣거나 손으로 만져보며 탐색
  • **대상 영속성(object permanence)**의 발달
    → 장난감을 눈앞에서 가리면, 초반에는 없어진 줄 알지만, 시간이 지나면 가려진 뒤에도 장난감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찾기 시작함
  • 모방 행동
    → 부모가 입을 내밀면 아이도 똑같이 따라함 (즉각적 모방 → 지연된 모방)

🧸 2. 전조작기 (Preoperational Stage) | 2~7세

언어가 발달하고 상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논리적 사고는 부족한 시기

🧒 아동 행동 예시:

  • 자기중심적 사고(Egocentrism)
    → 친구가 울고 있는데 “왜 울어?”라고 묻고, “내가 슬퍼서”라고 답하는 등 타인의 관점을 잘 이해하지 못함
  • 물활론적 사고(animism)
    → 인형이 슬퍼한다고 생각하거나, 달이 자기를 따라온다고 믿음
  • 상징적 놀이(Symbolic play)
    → 나무 막대기를 “비행기”라고 상상하거나, 인형에게 밥을 먹이는 흉내를 냄
  • 보존 개념 미발달
    → 컵 두 개에 같은 양의 물을 부은 뒤, 한쪽 컵을 길고 얇은 유리잔에 부으면 양이 더 많아졌다고 생각함

📏 3. 구체적 조작기 (Concrete Operational Stage) | 7~11세

논리적 사고 가능, 하지만 구체적인 사물에만 적용 가능

🧒 아동 행동 예시:

  • 보존 개념 획득
    → 컵의 모양이 달라도 양이 같다는 것을 이해함 (길이, 무게, 수 등 다양한 보존 개념 발달)
  • 분류와 서열 가능
    → 색깔별, 크기별로 물건을 정리하거나 순서를 맞출 수 있음
  • 탈중심화
    →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상황을 이해함 (예: 친구가 왜 슬픈지 공감함)
  • 규칙 이해 및 놀이 적용
    → 보드게임이나 운동 경기에서 규칙을 따르고, 공정성에 민감함

🧠 4.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al Stage) | 11세~성인

추상적 사고와 가설 설정, 논리적 추론이 가능한 시기

🧒 아동 행동 예시:

  • “만약에~라면?” 사고 가능
    → “만약 내가 투명인간이 된다면?” 같은 가상의 상황을 상상하고 말로 풀어냄
  • 수학·과학적 추론 가능
    → 방정식을 추상적으로 다루고, 과학 실험에서 “가설 → 실험 → 결론”의 구조를 이해함
  • 자기 성찰 및 이상주의
    → “왜 세상은 불공평할까?”, “나는 누구지?” 같은 존재적 질문에 관심
  • 가설적 문제 해결
    → 어떤 변인이 결과에 영향을 줄지 논리적으로 따져보는 문제 해결력 향상

📝 요약 표

단계나이특징행동 예시
감각운동기 0~2세 감각과 운동 사라진 장난감을 찾음, 만지고 빨기, 모방
전조작기 2~7세 상징 사용, 자기중심적 인형에게 밥 먹이기, 달이 따라온다고 믿기
구체적 조작기 7~11세 논리적 사고 시작 컵 물 양 비교, 친구 감정 이해, 분류놀이
형식적 조작기 11세~성인 추상적 사고 가설 세우기, 이상주의적 질문, 논리게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