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장애, 정신건강

대한민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여러가지 지원

by 윤유월문 2025. 6. 30.
728x90
반응형

1.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서비스

  • 전국 약 230개 센터에서 통·번역, 가족상담, 부모교육, 자녀 돌봄, 취업 연계 등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문 또는 온라인(“다누리 포털”)을 통해 신청/이용 가능.

2. 🏫 교육 및 장학·진학 지원

  • 자녀 대상 교육비 바우처 (연 최대 120만 원), 방과후 학습, 또래 멘토링 프로그램 등
  • 고등학생 진학 컨설팅 + 학비 바우처: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 대상, 진로상담과 대학 등록금 일부 지원 

3. 🍼 보육·의료 지원

  • 다문화 가정의 유아(만 0~5세)는 보육료 전액 지원, 야간 및 휴일 보육료도 추가 지원 
  • 외국인 배우자 건강검진 무료 또는 일부 본인 부담으로 제공; 의료통역 및 정신건강 상담도 지원 

4. 🏡 주거·생활 안정

  • LH 영구임대주택 우선 입주 기회 
  • 일부 지자체에서 주거 바우처 시범 운영 

5. 💼 취업·직업훈련

  • 다문화 여성 대상 한국어 교육, 직업훈련, 자격증 과정 (요양·미용·제과 등), 취업연계 
  • 채용 인센티브로 인턴·근속수당 지급 (총 수십만 원 규모) .

6. 📦 기타 지원 사업

  • EMS 국제우편 요금 10% 할인 .
  • 지자체·경찰·농협 등에서 현금·물품·모국 방문 지원 사업 운영 (예: 광주경찰, 영암농협) .
  • 기업 사회공헌 프로그램 포함 (예: 포스코, 기아 ‘하모니움’ 사업) 

요약 정리

분야지원 내용
정착 지원 언어·통역·상담·교육 (지원센터 중심)
교육·진학 방과후·멘토링·바우처·컨설팅
보육·의료 보육료 전액·야간보육·건강검진
주거 영구임대주택 우선·바우처 시범
취업 직업훈련·자격증·취업 인센티브
기타 우편 할인, 현금·물품, 모국 방문
 

📌 신청 및 이용 방법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방문 또는 다누리 포털(www.liveinkorea.kr)
  2. 읍·면·동 주민센터, 복지로/정부24에서도 일부 서비스 신청
  3. 교육청 또는 학교 진로부서 통해 진학지원 신청
  4. 지역 LH, 농협, 경찰서, 지자체 공지사항 확인
728x90
반응형